동물 그림 창고
동물그림창고   새로운 그림   동화상   소리   한국의 동물   동물 사전   English   동물 게시판 
   
동물그림창고 그림 색인
 
  차례
    새로운 사진
    그림 색인
    동물의 소리
    동물 동화상
    Animated GIF
    동물 클립아트
    한국의 동물들
    동물이름 사전
    영문명 열람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게시판(영어)
    감사의 글(영어)
    사용자정보보호
    연락처
 
 
  동물그림창고 검색       검색도움말   새로운그림

  검색항목: 사진 이름     영어 이름을 모를 때는 동물 이름 사전을 참조하십시오.
동물그림창고 동물 사전

붉은머리오목눈이 (뱁새)

영명: crow tit

학명: Paradoxornis webbiana (Campbell)

[분류] 참새목(Passeriformes) 딱새과(Muscicapidae) 붉은머리오목눈이아과(Paradoxornithinae)에 딸린 새. 한국 아종의 학명은 Paradoxornis webbiana fulvicauda (Campbell)이다. 일명 '뱁새'라고 불리는 새가 바로 이 새이다.

[형태] 몸길이 약 13cm이며 암수의 깃털은 거의 동일하다. 몸에 비해 꼬리가 긴 편이다. 이마와 머리 꼭대기는 황색을 띤 갈색이며, 배와 옆구리는 때묻은 흰색이며 그 밖에는 흐린 밤색이다. 짧고 단단한 부리는 어두운 갈색이며 다리는 회색과 갈색이다. 뚜렷한 크림색 눈썹선이 있으며 꼬리는 진한 밤색이다. 배의 중앙, 턱밑, 멱은 흰색이다. 겨울에는 배에 초승달 모양의 흰색 반점이 있다.

[울음소리] 길게 '씨, 씨, 씨, 씨' 또는 '찍, 찍' 하고 운다.

[서식지] 들판의 논과 밭 근처, 물가의 갈대밭, 인가 근처의 덤불. 우리 나라 전역에서 번식하는 흔한 텃새로 초지, 관목, 덤불, 갈대밭 등지에서 생활하며 겨울에는 수십 마리가 무리를 이룬다. 빽빽한 향나무숲, 전원의 회양목, 풀 속이나 관목, 농가의 울타리 등에서 번식한다.

[먹이] 곤충류, 거미류, 곡류 등을 즐겨 먹는다. 뱁새'라고 더 잘 알려진 붉은머리오목눈이는 곡식의 낟알이나 해충과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특히 새끼를 기르는 봄과 여름에는 곤충을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농사에 도움을 준다.

[번식] 둥우리는 덤불의 낮은 나뭇가지 사이에다 밥그릇 모양으로 짓는다. 둥지를 트는 곳은 주로 농가의 울타리, 풀 속, 관목림 속이나 보통 땅 위이다. 마른 풀, 섬유, 풀뿌리 등으로 짓고 거미줄로 튼튼하게 엮는다. 3 ~ 5 개의 알을 낳는다.

[수명]

[행동양식] 주로 인가 근처의 덤불, 물가의 갈대밭, 들판의 논과 밭에서 20 ~ 50 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붉은머리오목눈이 어미새는 새끼가 똥을 싸면 얼른 먹어 치운다. 냄새로 인해 천적인 다른 새들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분포] 우리나라 전역의 야산이나 논과 밭 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아시아 동부, 중국 동북 지방, 한국, 중국에서 남쪽으로 미얀마 등 북부까지의 지역에서는 텃새이다.

[현황]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기타] 일반적으로 새의 어린새끼들은 입주변이 노랗고 입안이 빨간색을 띄고 있는데 이는 어미로 하여금 먹이를 물어오게끔 하기 위한 하나의 유발인자이다. '붉은머리오목눈이'의 경우에도 새끼의 입은 주변이 노랗고 안쪽은 빨간색이다.

 
멀티미디어:

[동물명 사전] [인쇄하기 좋은 형태로 보기] [ 웹에서 "붉은머리오목눈이" 정보 검색]

동물그림창고 | 새로운 그림 | 동물의 소리 | 동물 동화상 | 그림 색인 | 검색도움말
클립 아트 | Animated GIFs | 동물 게시판 | 감사의 글 | 사용자 정보 보호
동물이름사전 | 분류별 열람어 | 저작권 | 문의 편지

© CopyLeft 1995-2000. 동물그림창고.